미꾸라지

미꾸라지

  • 포럼
  • 위키

›자가 진단 문제

미꾸라지 문제 해결

  • 소개
  • 기본 동작 문제

    • 기본 동작 여부 확인
    • 기본 동작 여부 확인 (WFP Item 모드)
    • 적용 여부 확인해 보기
    • 아이템 적용 여부 확인
  • 프로그램 문제
  • 방화벽 문제

    • 방화벽 문제 해결
    • 중앙 서버와의 통신 문제 해결
    • 중앙 서버와의 인증 문제 해결
    • 중계 서버와의 통신 문제 해결
    • 연결 프로토콜
  • 인터넷 연결 공유
  • 연결 문제
  • 자가 진단 문제

    • 자가 진단 안내
    • 에러 코드 Reference

    트래픽 / 크레딧 사용 문제

    • 접속 기록 살펴보기

    핑 문제

    • 미꾸라지를 이용한 RTT 낮추는 방법
  • P2P 게임 문제

자가 진단 안내

미꾸라지의 설정 구성이 10% 에 머물러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자가 진단 결과에 대한 도움말 안내 문서입니다.

t100

Core 준비 여부

이 테스트는 미꾸라지 Core 프로세스가 라우팅 정보를 세팅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가리킵니다. 즉, 만약 이것이 X 마크라면 미꾸라지 Core 프로세스가 부팅 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먼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 해당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들이 모두 동작중인가요?

    • mudfish.exe
    • mudflow.exe
    • mudrun.exe

    모든 프로세스가 동작이고, 하나라도 죽었다면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 '대시보드 → 상태 → 프로세스' 메뉴의 Core 로그 정보를 확인하시면 현재 진행 상황에 대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 내용 중에 WARNING 이나 ERROR 레벨에 해당되는 메세지들이 없는지요?

t101

중계 서버 자동 선택 아이템

현재 장착된 아이템 중 중계 서버 선택이 '자동 선택'으로 되어 있는 아이템의 갯수와 해당 아이템의 이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계 서버 '자동 선택'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미꾸라지가 그에 알맞은 중계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만약 이 시간이 단축하고자 한다면 각 아이템 설정메뉴에 들어가셔서 중계 서버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t102

죽은 중계 서버가 세팅된 아이템

현재 장착된 아이템 중 죽은 중계 서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혹은 일시적으로 중계 서버가 down 된 상태) 가 세팅된 아이템을 나타냅니다. 간혹 미꾸라지 중계 서버가 불안정할 경우 down 이 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설정 구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대시보드에서 아이템 설정을 클릭하셔서 다른 중계 서버로 변경해 보시기 바랍니다.

t200

중앙 서버 테스트: 웹 페이지

중앙 서버와의 웹 연결이 제대로 되는지 체크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이 테스트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중앙 서버 웹 페이지 접근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t201

중앙 서버 테스트: 인증 서버

중앙 서버의 인증 서버와 연결이 제대로 되는지 체크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이 테스트가 실패한다면 인증 서버와의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t202

중앙 서버 테스트: RTT 서버

중앙 서버의 RTT 서버와 연결이 제대로 되는지 체크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이 테스트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RTT 정보를 받아오는 부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t300

방화벽 테스트: KR Asia (S. Korea - KT1 IDC) TCP Port

KR Asia (S. Korea - KT1 IDC) 중계 서버를 대상으로 TCP Port 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이 TCP Port 연결이 실패할 경우, 연결 프로토콜 문서를 참고하셔서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설정을 변경하여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t301

방화벽 테스트: JP Asia (Tokyo - SoftBank) TCP Port

JP Asia (Tokyo - SoftBank) 중계 서버를 대상으로 TCP Port 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이 TCP Port 연결이 실패할 경우, 연결 프로토콜 문서를 참고하셔서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설정을 변경하여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t302

방화벽 테스트: KR Asia (S. Korea - KT1 IDC) UDP Port

KR Asia (S. Korea - KT1 IDC) 중계 서버를 대상으로 UDP Port 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이 TCP Port 연결이 실패할 경우, 연결 프로토콜 문서를 참고하셔서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설정을 변경하여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t303

방화벽 테스트: JP Asia (Tokyo - SoftBank) UDP Port

JP Asia (Tokyo - SoftBank) 중계 서버를 대상으로 UDP Port 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만약 이 TCP Port 연결이 실패할 경우, 연결 프로토콜 문서를 참고하셔서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설정을 변경하여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t400

내부망 테스트: KR Asia (S. Korea - KT1 IDC)

KR Asia (S. Korea - KT1 IDC) 중계 서버를 대상으로 내부망 연결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이 부분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우선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 '상태 → 프로세스' 메뉴에서 MUDEC_00044 혹은 MUDEC_00045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 주십시오. 만약 Core 준비 여부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운영체제에서 IP 주소를 받아가지 못한다면 t400 오류가 여전히 발생될 수 있습니다.

  • 해당 중계 서버가 동작중인지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중계 서버 상태 페이지를 방문하셔서 KR Asia (S. Korea - KT1 IDC) 가 목록에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t100 (Core 준비 여부) 가 제대로 되었는지가 우선입니다. 해당 준비가 완료된 후에 t400 (내부망 테스트: KR Asia (S. Korea - KT1 IDC)) 오류를 해결하실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 중계 서버와의 통신 문제 해결 문서를 참조하셔서 연결 프로토콜 을 변경하여 테스트를 해보십시오.

← 연결 문제에러 코드 Reference →
  • t100
  • t101
  • t102
  • t200
  • t201
  • t202
  • t300
  • t301
  • t302
  • t303
  • t400
미꾸라지
미꾸라지 VPN
미꾸라지 앱 (Android 용)미꾸라지 앱 (iOS 용)미꾸라지 Cloud VPN미꾸라지 DNS Client미꾸라지 HTTP 와 SOCKS 프록시미꾸라지 브라우저 확장 기능
기술 지원
미꾸라지 포럼
기타
미꾸라지 홈페이지
Copyright © 2011-2024 미꾸라지 네트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