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해외에서 한국 스트리밍 제한 우회하기

· 약 4분
알아주세요

미꾸라지 WebExtension (확장 기능) 프로그램이 v4.6.6 으로 업데이트되며, 아래와 같이 PAC 문법을 다루지 않더라도 손쉽게 원하는 사이트만 미꾸라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메뉴 구성을 새롭게 하였습니다.

picture 0

최선 확장 기능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시면 이용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확장 기능 다운로드는 https://mudfish.net/download 링크에 가능합니다.

해외에 살다보면, 한국 스트리밍이 보고 싶을 때가 있는데, 접속 국가 제한으로 인해 볼 수 없을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단순 VPN 을 사용하게 되면, 대역폭 제한으로 스트리밍이 끊어지는 일도 많구요. 이 팁에서는 미꾸라지 확장 프로그램의 PAC 문법 기능을 이용하여, 속도 하락없이 이를 간단하게 우회할 수 있는 스크립트 예제입니다.

이 예제의 경우, 국가 제한 관련 부분만 미꾸라지를 통해 전달하고, 나머지 스트리밍은 기존 인터넷 회선으로 접속이 되게 됩니다.

브라우저 확장 기능 로그 살펴보기

· 약 3분

미꾸라지 브라우저 확장 기능을 사용하다보면, 간혹 원인을 알수없고, 뜻하지 않는 문제에 만날 수 있어 관리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효율적인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확장 기능 로그를 보여주는 것이 굉장히 문제를 좁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어떻게 브라우저 확장 기능 로그에 접근 가능한지 설명을 하겠습니다.

중계 서버 목록 제한을 잘못 사용하는 예

· 약 4분

미꾸라지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면, "설정 → 중계 서버" 메뉴를 보게 되는데, 간혹 이를 혼동하여 사용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인데요,

  • 한국에 거주하고 계신 사용자 A 씨는 "월드 오브 탱크"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Europe (Germany) 쪽 게임 서버에 접속을 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설정 → 중계 서버" 메뉴에서 DE Europe (Germany - Lightsail) 중계 서버를 선택한 후 진행하였습니다.

이 경우는, 중계 서버 목록 제한에서 사용하실 중계 서버를 선택하시면 안되고, 사용하고 계신 "월드 오브 탱크" 아이템 설정 메뉴에서 해당 중계 서버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NIC의 Metric 값을 변경하는 방법

· 약 3분

간혹 기본 동작 여부 확인을 위해 Full VPN 모드를 켰음에도 불구하고 미꾸라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을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 이슈로 인해서 문제점 보고서를 받아 보게 되면 간혹 네트워크 장치의 Metric 이슈로 인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즈 사용자가 NIC (Network Interface Card) 의 Metric 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미꾸라지 설치없이 예상 핑 계산하기

· 약 2분

미꾸라지 포럼 (https://forums.mudfish.net) 을 통해 기술 지원을 하다 보면 의외로 많은 분들로 부터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미꾸라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정말 핑이 내려 갈까요? 내려간다면 얼마나 내려 가나요?

그러면 기술 지원을 해드리는 입장에서는 답변드리기 쉽지 않았는데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대표적인 이유는

  • 질문을 주시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약 500 대에 이루는 미꾸라지 중계 서버들간의 RTT (Round Trip Time) 을 모릅니다.

  • 간단하게 예상 핑을 계산하는 내부 서비스가 없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미꾸라지를 설치해서 직접 테스트를 해보라"라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기술 지원을 해드리는 입장에서 쉽게 할 수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히 미꾸라지 프로그램를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대단히 불친절한 안내였습니다.

미꾸라지 v4.6.0 릴리즈 변경점

· 약 4분

새롭게 릴리즈되는 미꾸라지 v4.6.0 의 경우, 기존 사용자의 경우 혼동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어 별도의 블로그에 해당 변경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적고자 합니다.

WFP 드라이버에 관한....

· 약 4분

이 문서에서는 미꾸라지 v4.5.1 에 새롭게 들어간 WFP (Windows Filtering Platform) 드라이버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기술적인 설명보다는 왜 이 기능이 들어갔고, 어디에 사용하는지에 대해 질문과 답변과 같은 형식으로 글을 구성하였습니다.